How to go to Pyeongchang Winter Olympic Stadium 또는 How to get to Pyeongchang Winter Olympic Stadium
(구글에서 처음 보이는 )아래는 평창 동계올림픽 홈페이지 내용입니다.(2017-11-23 현재)
Bus
When using express (inter-city) buses, get off at ‘Jinbu Bus Terminal’ or ‘Hoenggye Bus Terminal’.
① From Jinbu Bus Terminal: Walk 70m to the bus stop at the Jinbu Tourist Information Centre in front of the bus terminal. Board the loop shuttle bus and get off at Jinbu Station. Transfer to the spectator shuttle bus then take it to PyeongChang Olympic Plaza.
② From Hoenggye Bus Terminal: Walk 270m to PyeongChang Olympic Plaza.
평창 동계올림픽은 평창에서 정선,강릉에 걸쳐 15개 종목 102개 세부종목을 여러 경기장에서 진행합니다.
Pyeongchang Winter Olympic Stadium
아래는 한글 안내를 참고로 https://en.wikivoyage.org/wiki/Pyeongchang_2018 에 제가 작성한 글입니다.
Public transportation: Moving to the venue / stadium through the Changpyeong, Jinbu and Yongsan Bus Terminal (for taxi, city bus, etc.)
Walking: Walking near the venue / stadium and then walking
Olympic period (Feb.09.2018 ~Feb.25.2018 )
Public transportation: Transfer to the transfer parking lot (Jindu, Yonggye, Bokwang, Jeongseon) via Jindu Station (KTX), Changpyeong, Jindu,
Transfer: Transfer parking (Jinbu, Yonggye, Bokwang, Jeon Line) After parking, shuttle bus to the venue / stadium
B.Gangneung Coastal Cluster
Gangneung Hockey Centre
Gangneung Oval
Gangneung Ice Arena
Gangneung Curling Centre
Kwandong Hockey Centre
Now
Public transportation: Moving the stadium through the Gangneung Express / Intercity Bus Terminal (taxis, city buses, etc.)
Car park: Parking near the stadium.
Olympic period (Feb.09.2018 ~Feb.25.2018 )
Public Transportation: Transfer to the transfer parking lot (Gangneung Station, Seosan, Hongje, Seongsan, North Gangneung) via Kangnung Station (KTX), Gangneung Express / Intercity Bus Terminal Transfer to the parking lot (Gangneung Station, Seosan, Hongje, Seongsan, North Gangneung)
최근 사무실 이외에서 업무의 연속성을 갖기를 원하는 고객분들이 많아지고 있습니다.
사무실에서 집에서 또는 외부에서 업무자료를 수시로 꺼내보기를 원하시는 분들께 NAS 를 추천합니다.
크라우드 서비스는 Google 크라우드,네이버 크라우드 등 많이 사용하고 계시죠. 그러나, 업무자료를 크라우드에 모두 넣어놓고 사용하기에는 현실적으로 어려움과 부담이 큽니다.
이런 단점을 해결하기 위해 네트워크 결합 스토리지(NAS:Network Attached Storage) 약어로 NAS(나스)를 선호합니다.
NAS 설치 1644-9365NASNAS
장점 1) 설치를 하면 바로 네트워크 PC로 설정이 됩니다. ( 사내 직원들이 다른 학습없이 바로 사용이 용이합니다.)
장점 2) 별다른 IP 공유기 설정이 없어도 외부 도메인 으로 접속이 가능합니다.(공유기 업데이트가 필요할 수 있습니다.) 외부 접속은 ID/비밀번호를 입력하셔야 파일에 접근할 수 있습니다. 장점 3) 하드디스크의 수량을 원하는데로 추가하실 수 있습니다. 하드디스크 4개를 설치하실 수 있는 NAS의 경우 2T X4 = 최대 8T로 사용가능
장점 4) 데이터 복사등 업무활용성이 웹크라우드에 비하여 우수합니다.
장점 5) 데이터가 사외로 반출되지 않아 회사 운영방침에 적합합니다.
NAS 설치 문의 : 증강된 사람들 T : 1644-9365
(master@speed365.co.kr)